송강 온라인 갤러리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송강 온라인 갤러리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예술세상
  • 분류 전체보기 (647)
    • o송강 온라인 갤러리(미술 작업) (82)
    • o송태한의 시를 그리다(시화 작업) (61)
    • o송태한의 시와 시집 (72)
    • o미술 세상 (184)
    • o문학 세상 (127)
    • o음악 세상 (7)
    • o예술가의 삶과 작품 (25)
    • o역사와 삶 (16)
    • o세상 만사 (32)

검색 레이어

송강 온라인 갤러리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o예술가의 삶과 작품

  • 아메데오 모딜리아니

    2020.12.23 by 송강 작가

  • 김환기

    2020.12.22 by 송강 작가

  • 이중섭 화가

    2020.12.22 by 송강 작가

  • 백남준-비디오 아티스트

    2020.12.22 by 송강 작가

  • 김수영 시인

    2020.12.20 by 송강 작가

  • 박목월

    2020.12.20 by 송강 작가

  • 폴 발레리 Paul Valéry

    2018.06.21 by 송강 작가

  • 언어의 연금술사/ 라이너 마리아 릴케

    2018.06.11 by 송강 작가

아메데오 모딜리아니

모딜리아니 이탈리아 출신으로 파리 몽마르트르에서 그림을 그렸던 아메데오 모딜리아니 (Amedeo Modigliani, 1884-1920) 짧은 화가 생활 내내 여인의 초상화만 그렸던 독특한 개성의 작가다. 가느다란 목과 불균형하게 긴 얼굴의 여인들을 그린 그의 초상은 현대인의 불안과 애수를 절묘하게 표현한 걸작들이라는 평을 얻고 있다. 그러나 모딜리아니의 활동 당시 세간의 평은 그리 관대하지 않았다. 그는 피카소가 ‘두목’으로 있던 몽마르트르의 ‘세탁선(Bateau-Lavoir)’ 그룹에서 작품을 가장 팔지 못했던 화가였고 가난과 병고, 알코올 중독에 시달리다 1920년 서른여섯의 나이로 요절하고 말았다. 이런 초상화의 화가 모딜리아니가 잠시 ‘외도’에 빠진 적이 있었다. 1916년과 1917년 사이에 ..

o예술가의 삶과 작품 2020. 12. 23. 01:07

김환기

김환기 김환기는 한국 추상 미술의 선구자로, 전통적인 한국의 미에 서구 모더니즘을 결합시킨 화가이다. 20세기 한국 미술의 대표적인 인물로, 그를 논하지 않고는 한국 현대 미술의 좌표를 읽을 수 없다고까지 평가되는 작가이다. 친구이자 동료였던 화가 최순우는 그에 대해 “한국의 멋을 폭넓게 창조하고 멋으로 세상을 살아간 예술가”라고 말했다. 김환기는 1913년 2월 27일 전라남도 신안군 안좌면 읍동리 작은 섬에서 태어났다. 부농 집안의 1남 4녀 중 넷째로 유복하게 자랐으며, 후일 그의 작품에서 엿보이는 자연의 서정성은 이때의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김환기는 서울 중동중학교를 거쳐 19세 때 일본으로 유학을 떠났다. 도쿄 니시키시로(錦城) 중학교와 니혼(日本) 대학 예술학원 미술학부에서 공부했으며,..

o예술가의 삶과 작품 2020. 12. 22. 21:56

이중섭 화가

생애 및 활동사항 1937년 일본으로 건너가 분카학원[文化學院] 미술과에 입학하였다. 재학 중 독립전(獨立展)과 자유전(自由展)에 출품하여 신인으로서의 각광을 받았다. 분카학원을 졸업하던 1940년에는 미술창작가협회전(자유전의 개칭)에 출품하여 협회상을 수상하였다. 1943년에도 역시 같은 협회전에서는 태양상(太陽賞)을 수상하였다. 이 무렵 일본인 여성 야마모토[山本方子]와 1945년 원산에서 결혼하여 이 사이에 2남을 두었다. 1946년 원산사범학교에 미술 교사로 봉직하기도 하였다. 북한 땅이 공산 치하가 되자 자유로운 창작 활동에 많은 제한을 받았다. 친구인 시인 구상(具常)의 시집 『응향(凝香)』의 표지화를 그려 두 사람이 같이 공산주의 당국으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하였다. 6·25전쟁이 일어나고, ..

o예술가의 삶과 작품 2020. 12. 22. 09:30

백남준-비디오 아티스트

백남준은 비디오 아트를 만들고 발전시킨 현대 예술가이다. 뉴욕 구겐하임 미술관의 수석 큐레이터 존 핸하트는 백남준의 작품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백남준의 작품은 20세기 말 미디어 문화에 강력하고 지속적인 영향을 끼쳤다. 덕분에 텔레비전 방송에 대한 재정의가 이루어졌으며, 비디오는 미술가의 예술적인 수단이 되었다.” 비디오 아트란 비디오, 텔레비전 등의 전자 매체를 표현 매체로 활용하는 예술로, 영화의 연장, 미술의 확장된 개념으로 여겨진다. 비디오 아트의 탄생으로 미술은 회화나 조각의 형태에서 탈피해 규정할 수 없을 만큼 다양한 면모를 띠게 되었고, 그럼으로써 현대 미술의 지형이 바뀌었다. 특히 비디오 아트는 작품 자체만이 아니라 그 작품이 놓인 공간 구성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어, 앞으로 어떤 형태..

o예술가의 삶과 작품 2020. 12. 22. 09:26

김수영 시인

196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문학가 김수영 4·19혁명이 그의 문학관에 끼친 영향 출생-1926년 사망-1968년 목차/접기 『달나라의 장난』 4·19 이후부터 「풀」까지 『달나라의 장난』 세상 사람들은 크게 주류와 반주류로 나뉜다. 말할 것도 없이 실세적 권력을 쥐고 현실을 움직여나가는 무리는 주류 쪽이다. 그들은 정책을 입안하고 시행하면서 세계의 틀을 바꾼다. 반주류 쪽은 그 틀을 피동적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물론 때로는 주류가 만든 틀에 대한 반주류의 불만과 비판, 저항이 따르기도 한다. 주류의 범주에는 정부, 검열 기구, 관료, 국회 의원, 온갖 심의 위원, 고학력자, 자본가, 대학교 총장, 검사, 매스미디어의 실세, 유명 작가, 아버지 등이 속해 있고, 반주류의 범주에는 무당, 집시, 환경..

o예술가의 삶과 작품 2020. 12. 20. 22:55

박목월

박목월 朴木月 / 박영종, 朴泳鍾 1916. 1. 16, 경북 경주 1978. 3. 24, 서울 한국 요약 시인. 향토적 서정을 민요가락에 담담하고 소박하게 담아냈다. 조지훈 박두진과 함께 청록파의 한 사람이다. 대표작으로 , 등이 있다. 목차접기 문학세계 박목월(朴木月) 대한민국의 시인 겸 대학 교수 및 교육자이다.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한국시단에서 김소월과 김영랑을 잇는 시인으로, 향토적 서정을 민요가락에 담담하고 소박하게 담아냈다. 본명은 영종. 태어난 지 100일 만에 경상북도 월성(지금의 경주)으로 이사가 그곳에서 자랐다. 1933년 대구에 있는 계성중학교에 다닐 때 〈어린이〉에 동시 〈통·딱딱 통·짝짝〉이 특선되었고, 그해 〈신가정〉에 동요 〈제비맞이〉가 ..

o예술가의 삶과 작품 2020. 12. 20. 22:51

폴 발레리 Paul Valéry

폴 발레리 Paul Valéry 출생 1871. 10. 30, 프랑스 세트 사망 1945. 7. 20, 파리 국적 프랑스 요약 프랑스의 시인·수필가·비평가. 그의 가장 훌륭한 시는 〈젊은 파르크〉로 여겨진다. 이 작품에 뒤이어 〈구시첩〉과 〈바다의 묘지〉가 들어 있는 시집 〈매혹〉이 발표되었다. 목차 펼치기 폴 발레리(Paul Valéry) 많은 논설과 가끔 문학을 주제로 한 글도 썼으며, 과학적 발견과 정치문제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을 가졌다. 발레리는 지중해 연안의 작은 항구도시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이 항구의 세관관리였다. 그는 몽펠리에에서 법률을 공부하는 한편 시와 건축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 내성적인 편이어서 친구가 별로 없었는데, 이 시기에 사귄 몇 명 되지 않는 친구로는 후에 철학교수가..

o예술가의 삶과 작품 2018. 6. 21. 06:01

언어의 연금술사/ 라이너 마리아 릴케

언어의 연금술사/ 라이너 마리아 릴케 Rainer Maria Rilke 출생1875년 12월 04일 사망1926년 12월 29일 대표작《말테의 수기》, 《두이노의 비가》 등 오스트리아에서 태어나 독일에서 활동하였다. 우울한 낭만주의와 모더니즘 중간에 위치한 시인으로 섬세한 감성과 세련된 표현으로 신비주의적 주제를 다루었다. 목차펼치기 라이너 마리아 릴케는 오스트리아 출신의 실존주의 시인으로, 20세기 최고의 독일 시인 중 한 사람으로 꼽힌다. 섬세하고 세련된 시어와 감수성으로 언어의 거장, 시인 중의 시인으로 불린다. 근대 사회의 모순, 번뇌, 고독, 불안, 죽음, 사랑 등에 대해 깊이 있는 성찰을 토대로 명상적, 신비적 시를 많이 썼다. 또한 유일한 장편소설인 《말테의 수기》는 현대 모더니즘 소설의 시..

o예술가의 삶과 작품 2018. 6. 11. 22:1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다음
TISTORY
송강 온라인 갤러리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