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강 온라인 갤러리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송강 온라인 갤러리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예술세상
  • 분류 전체보기 (648)
    • o송강 온라인 갤러리(미술 작업) (83)
    • o송태한의 시를 그리다(시화 작업) (61)
    • o송태한의 시와 시집 (72)
    • o미술 세상 (184)
    • o문학 세상 (127)
    • o음악 세상 (7)
    • o예술가의 삶과 작품 (25)
    • o역사와 삶 (16)
    • o세상 만사 (32)

검색 레이어

송강 온라인 갤러리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o세상 만사

  • 순천만의 가을

    2022.11.18 by 송강 작가

  • 스스로 아름다운 삶

    2021.12.08 by 송강 작가

  • 행복의 공식

    2021.11.11 by 송강 작가

  • 인생 이라는 여행

    2021.10.08 by 송강 작가

  • 태양계 행성과 공전

    2021.01.06 by 송강 작가

  • 지구의 자전 속도, 공전 속도

    2021.01.06 by 송강 작가

  • 행성

    2021.01.06 by 송강 작가

  • 지구

    2021.01.06 by 송강 작가

순천만의 가을

순천만의 가을

o세상 만사 2022. 11. 18. 08:59

스스로 아름다운 삶

스스로 아름다운 삶 독일 민요에 이런 내용이 있습니다. "나는 살고 있다"그러나 나의 목숨 길이는 모른다. 자기 인생의 삶의 길이는 어느 누구도 모른다. 하지만, 얼마나 오래 살았느냐? 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떻게 살았느냐? 가 중요하다. 몇 살인가? 가 중요한 게 아니라 얼마 만큼 나이 값을 하며 올바로 살고 곱게 늙어 가고 있느냐? 가 중요합니다. 문제는 나이 값입니다. 고희(古稀) 70 이 넘으면 많은 사람이 이렇게 말합니다. 추하게 늙고 싶진 않다! 하지만 현실은 바라고, 소망(所望)하는 것과 다릅니다. 쉰이 넘고, 예순을 지나 일흔이 되면서 외로워지고, 자기 삶에 만족 할 수 없는 사람이 점차 많아 집니다. 그래서 괴테는 노인의 삶을 네 개의 상실(喪失)이라는 단어로 표현했습니다. 1. 건강..

o세상 만사 2021. 12. 8. 09:48

행복의 공식

행복의 공식 KBS

o세상 만사 2021. 11. 11. 22:17

인생 이라는 여행

인생은~~

o세상 만사 2021. 10. 8. 06:28

태양계 행성과 공전

태양계 행성들의 공전 (케플러 제 2법칙에 따라 태양으로부터의 거리가 가장 길 때 속도가 가장 느리고, 태양으로부터의 거리가 가장 짧을 때 속도가 가장 빠르므로 궤도 '평균' 속도인 것입니다) 단위는 km/sec입니다. 수성 47.26 금성 35.02 지구 29.78 (시속 107,208 km) 화성 24.08 목성 13.06 토성 9.65 천왕성 6.81 해왕성 5.44 명왕성 4.68 참고 지구의 자전 속도는 시속 1700km ★ 행성들의 공전주기 단위는 '年'입니다 수성 0.2409 금성 0.6102 지구 1.0000 화성 1.8809 목성 11.862 토성 29.458 천왕성 84.022 해왕성 164.774 명왕성 247.796 행성 정보 수성 반지름 2500km 온도 400도 밀도 5.4 공전..

o세상 만사 2021. 1. 6. 06:53

지구의 자전 속도, 공전 속도

지구의 자전 속도, 공전 속도와 신체 주기 바이오 리듬 지구의 자전 속도는 시속 1700km다 비행기보다 빠른 속도로 혼자 빙빙 돌고 잇다 지구의 공전 속도는 시속 1100 km 다. 무지 빠르게 태양 주위를 빙빙 달리고 잇다 매일 하나씩 나이테를 형성하는 산호의 나이테를 근거로 조사한바로는 4억년전에는 하루는 22시간이고 일년은 400일이었다 하루가 점점 길어지고 있다. 일년은 점점 짧아지고 있다 지구 자전이 점점 느려지는 이유는 태양과 달의 밀물 썰물 기조력 때문이다 2억년 후에는 하루가 25시간이 될 것이다 신체 주기 바이오 리듬은 신체23일, 감성 28일, 지성 33일로 우리 몸 건강과 밀접한 관게가 잇다. 야근을 하면 건강에 매우 안 좋다 세포 안의 분자 시계인 뇌의 작은 부위 리치터반은 빛의..

o세상 만사 2021. 1. 6. 06:46

행성

행성 행성은 질량이 핵융합반응을 일으킬 만큼 크지 않고, 구형에 가까운 모양을 유지하며 그 궤도 주변에 있는 천체들에 대해 압도적 영향력이 있는, 항성 주변을 공전하는 천체이다. 과거에 행성으로 간주되던 명왕성(Pluto)이 2006년에 왜소행성으로 강등되었기 때문에, 현재 태양계 행성은 수성(Mercury), 금성(Venus), 지구(Earth), 화성(Mars), 목성(Jupiter), 토성(Saturn), 천왕성(Uranus), 해왕성(Neptune), 모두 8개이다 (그림 1 참조). 1992년 처녀자리에 있는 펄사(pulsar) PSR B1257+12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이 보고 되기 전까지는 태양계 행성들이 알려진 것의 전부였다. 2019년 2월 현재 태양계 밖에서 4000개에 달하는 외계행성..

o세상 만사 2021. 1. 6. 06:39

지구

지구 지구는 태양계에서 생물체가 사는 유일한 곳이다. 지표의 약 2/3는 바다로 덮여 있으며, 전체 수권 총질량의 98%를 차지한다. 지표면의 환경은 그곳에 사는 생물들과 함께 지구의 생물권을 구성한다. 1개의 위성인 달이 있다. 1년 단위로 공전하며 24시간 주기로 자전한다. 현대과학이 밝힌 바에 의하면 생명체가 존재하기에 적합한 조건을 지닌 태양계 내의 유일한 행성이다. 인접해 있는 금성과 화성보다는 약간 크지만, 더 멀리 있는 목성·토성·천왕성·해왕성보다는 상당히 작다. 지구는 1개의 달을 위성으로 거느리고 있는데, 달은 다른 행성들의 위성들보다 크기 때문에 지구와 달이 함께 독특한 지구-달 계를 구성하는 것으로 생각한 사람도 있었다. 1960년대에 최초로 지구 전체를 먼거리에서 촬영했는데, 이 사..

o세상 만사 2021. 1. 6. 06:32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다음
TISTORY
송강 온라인 갤러리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